2013년부터 코딩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멋쟁이사자처럼.
이제는 멋쟁이사자처럼 직장인을 통해 새로운 멋사인을 배출해내고 있습니다.
멋쟁이사자처럼 직장인 오프라인과 멋쟁이사자처럼 직장인 온라인,
어떤 과정을 수강할지 고민이라면 아래 내용을 주목해주세요!
01. 온/오프라인 과정 요약
02. 온/오프라인 과정 상세 비교
온/오프라인 과정의 커리큘럼은 동일한가요? 왜 강의 시수가 다른가요?
오프라인과 온라인 과정의 커리큘럼 및 학습 내용은 동일합니다. 오프라인 과정의 경우 강의 시간 내 강사와 수강생이 함께 프로그램 세팅 및 실습을 하게 되므로 온라인 과정에 비해 더 많은 시간동안 진행이 됩니다.
온라인 과정에서는 강의에서 프로그램 세팅 및 실습 방법을 보고 개인적으로 실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오프라인에 비해 강의 시수는 적으나, 개인 실습 시간을 고려하면 오프라인과 비슷한 수준입니다.
온/오프라인 과정 모두 강의 시간 외 개인 학습시간을 가질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 특히, 온라인 과정은 실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므로 매일 2시간 이상의 개인 학습시간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.
온/오프라인 과정에서 만들게 될 프로젝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8주동안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온라인 과정에 비해, 오프라인 과정은 12주동안 팀 프로젝트로 웹 서비스를 개발하므로 비교적 더 큰 규모의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여기서 웹 서비스의 규모는 해당 서비스의 페이지 개수나 기능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.
예를 들어 네이버의 경우 검색, 메일, 쇼핑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로 무수하게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거대 규모의 웹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고, 간단한 심리테스트를 할 수 있는 웹 사이트의 경우 심리테스트의 내용과 결과를 제공하는 간단한 규모의 웹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(심리테스트 웹 서비스 예시 보기)
일반적으로 오프라인 과정은 커리큘럼 내 기능과 함께 추가적인 기능들을 스스로 학습하여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며, 온라인 과정은 커리큘럼 내 기능을 기본으로 부가적인 몇 개의 기능을 포함하여 프로젝트를 만들게 됩니다.
온/오프라인 과정을 통해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나요?
개발을 처음 시작하는 레벨에서는 복잡하고 많은 기능을 가진 웹 서비스를 바로 개발하기 어렵습니다. 기초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웹 서비스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회원가입/로그인 기능, 게시판 기능, 좋아요 기능 등에 대한 구현 방법을 배우게 되며, 이러한 기능들을 내가 만들고 싶은 아이디어 속에 녹여서 나만의 웹 서비스를 만들게 됩니다.
03. 나에게 맞는 온/오프라인 과정 찾기
이런 분들은 오프라인 과정이 더 잘 맞아요!
•
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아이디어도 공유하고, 팀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어요.
•
강사/보조강사님과 함께 실습하고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공부하고 싶어요.
•
비교적 긴 기간동안 완성도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어요.
이런 분들은 온라인 과정이 더 잘 맞아요!
•
시간,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강의를 수강하고 싶어요.
•
부담없이 가볍게 개인적으로 미니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어요.
•
짧은 기간동안 집중해서 공부하고 싶어요.